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웹(Web)29

Project name과 top-level-package 의 관계 Spring 에 대해서 알고 있어야 할 것이 정말 많다는 것에 놀랐다. 로직을 이용한 프로그래밍이라기 보다는 문법으로 문장을 만드는 느낌이었다. Spring MVC Project 만들다가 우연히 문제를 발견했다. Project name 이 first 이면 top-level-package 은 .first 로 끝나야 한다. Project name : first top-level-package : com.mycompany.first 당연한 것이겠지만 이렇게 안 되어 있으면 에러를 만난다. JAVA 부터 다시 공부를 해야 겠다. 2017. 12. 13.
(중급) spring & hibernate 게시판 ----> PHP 라라벨을 추천합니다. 역시나 한번에 실행은 안된다. 참고만 하자. https://okky.kr/article/200560 구글 엔지니어는 iBatis 보다는 hibernate 를 쓰는게 좋겠다는 의견이다. https://github.com/x1wins/FlowerPaper 게시판 기능 추가인가? 아직 xss방어랑 textrea ui는 차후 적용할 예정이라고한다. 2017. 12. 12.
Spring Framework: MVC 작성방법 (non-annotation) ----> PHP 라라벨을 추천합니다. Spring MVC의 주요 구성 요소는 아래와 같다. 이것을 쓸 것인가? 말 것인가는 기능을 잘 알고 있어야 결정할 수 있다. 게시판 소스의 경우 검색해 봐도 안나오는 것 보면 HandlerMapping 는 사용 안하는 것 같다. Spring MVC의 주요 구성 요소: DispatcherServlet: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전달받는다. Controller에게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전달하고, Controller가 반환한 결과 값을 View에 전달하여 알맞은 응답을 생성하도록 한다. HandlerMapping: 클라이언트의 요청 URL을 어떤 Controller가 처리할지를 결정한다. Controller: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한 뒤, 그 결과를 DispatcherServlet에 알려준다. 스트럿츠의 Acti.. 2017. 12. 12.
(JSP) 나 진짜 처음이에요. 게시판 만들기 예제 http://seinarin.tistory.com/category/Programming/JSP%20-%20%EA%B2%8C%EC%8B%9C%ED%8C%90%EB%A7%8C%EB%93%A4%EA%B8%B0 2017. 12. 11.
반응형